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내 프로필 바로가기인기있는 테이블 리스트 바로가기추천 테이블 리스트 바로가기
축소되는 세계를 읽고...

과거만해도 세상은 우주의 팽창과 같이 끝없는 인류의 증가로 결국 종말을 맞이할 것으로 예상했었다.
1970년대만 해도 이러한 인구 증가는 세상을 위협하여 디스토피아 공상 과학 소설의 소재로 자주 나오곤 할 정도였다.
자원은 한정되어 있는데 인구가 계속 증가를 하면, 최악의 경우 인간의 시체마저도 식량으로 사용할지 모른다는 위기감이 자리하고 있었다.

이때쯤 우리나라에서도 둘만 낳아 잘 기르자는 슬로건이 등장했다.

장기적으로 보았을때 인구가 안전적인 상태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출산율은 2.1명 정도다.
하지만 세상은 이보다 출산율이 곱절 더 높았다. 19세기 후반만 해도 유럽은 4.0명 수준일 정도였다.

이랬던 세상이 어쩌다 지금은 인구 감소를 걱정하게 되었을까?

그것은 바로 사회적, 경제적 발전에 따른 도시화가 가장 큰 원인으로 거론되고 있다.

미국만해도 19세기가 시작된 무렵 농업국가였다. 하지만 이후에 도시 인구가 전체 인구의 6%에서 40%로 어마어마하게 늘어나게 된다.

이러한 환경 변화는 자녀 양육에 대한 경제적 계산법을 완전히 바꾸어 놓았는데, 자녀 양육을 통해 얻는 직접적인 이득이 농경사회일때보다 훨씬 더 적어진 것이 바로 그것이다.

이는 어쩌면 당연한게 농경사회만 해도 사람은 곧 생산성의 근본이었다. 일할 사람이 많은 것은 곧 노동력 증가 및 생산성 향상을 불러일으켰다.

그러니 아이를 많이 낳는것이 풍성한 삶을 실현시키는데 유리하게 작용했다.

그러나 도시에서의 양육은 정반대로 작용을 하게 된다.

농업은 일자리가 주어졌지만, 도시는 취업을 해야하는 상황에서 이는 곧 양육비 증가를 불러일으켰다.
거기다 도시화에 따른 여성의 사회 진출로 인해 양육에 쏟아 붓는 시간과 자원들이 상당한 기회비용으로 작용할 수 밖에 없게 되었다.

그러니 자연스럽게 지금처럼 아이를 덜 낳게 되고, 심지어 아이를 낳지 않게 되는 상황까지 오게 되고 만 것이다.

문제는 이러한 인구 감소가 만약 계속된다면 동시에 버려지는 도시 또한 늘어나게 된다.

물론 중심도시는 여전히 그 지위를 유지하고 있겠지만 지방이나 수도권 외곽지역은 말 그대로 유령도시로 전락할 가능성이 크다.

이와 함께 연령분포가 상향이동되면서 부양비가 상승하는 등 경제적인 문제들도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노동인구의 감소는 곧 소비감소로 이어지면서 경제 쇠퇴로 이어질 것이다.

지금 당장 우리나라만해도 지방이 소멸될 수 있다는 위기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는 곧 지역의 불평등을 심화시키게 되고 수도권 밀집현상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

그래서 정부 입장에서 이와 같은 문제 해결에 나설 필요가 있다. 현재 정부는 지역별로 특화된 산업 도시를 만들고 있는 중이다.

인구가 부족한 지방도시는 노동집약적인 산업보다는 지방에 특화된 산업구조로 도시 발전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작은 도시라는것을 인정하고 재정적으로 지속가능하게 발전 할 수 있도록 도시 인프라를 합리화하고 통합하려는 전략이 필요하다.

이러한 네트워크가 만들어진다면 소도시와 대도시 간의 경쟁이 좀 더 공평해질 것이다. 동시에 지역화가 이루어진다면 세계 경제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현상 또한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거시적인 측면에서는 더이상 현재 수준의 생산과 소비를 지속하기란 어려운만큼 경제의 물질적인 규모 자체를 줄여나가야 한다.

이는 성장을 위한 성장보다 자연을 위한 환경적 정의와 모두를 위한 바람직한 삶을 보장하기 위해 사회를 변화시키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뜻이다.

우리는 점차 축소되는 사회를 맞아 지금부터 준비와 대처를 해나가야 할 것이다.

등록된 샷 리스트
댓글 1
댓글 정렬방식 선택
  • 선택됨
  • Loading...
페이지 위치정보
  1. 현재 페이지1
    글자 수0/총 글자 갯수600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테이블에 앉아보세요!
    누구나 가입이나 등업없이 글을 쓰고 읽을 수 있는오픈형 커뮤니티 테이블테이블 소개 이미지테이블 자세히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