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내 프로필 바로가기인기있는 테이블 리스트 바로가기추천 테이블 리스트 바로가기
당뇨 환자에 희소식...피부 부착형 혈당 센서 개발

당뇨 환자는 혈당 수치에 따라 건강 상태가 달라지기 때문에 지속적인 관찰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피부에 붙여 2주 동안 혈당 수치를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개발했습니다.

김진두 기자의 보도입니다.

 

 

(중략)

 

 

 

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혈당 센서입니다.

무게 14mg, 길이가 1mm 이하인 미세 바늘에 금으로 된 본체가 붙어 있습니다.

유연하고 얇은 기판 위에 피부 접착제와 전기 신호가 잘 전달되도록 젤 전해질을 코팅한 것입니다.

반도체에 사용되는 광 패턴 기술을 응용해 가벼우면서도 고성능의 센서 제작이 가능해졌습니다.

 

 

 

 

[강주혁 / KIST 생체재료연구센터 연구원 : 수동으로 하지 않고 자동으로 원하는 부위에만 패턴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고 이를 마이크로 니들 센서에 적용해서 아예 하나의 제품으로….]

 

 

자외선을 이용한 이런 공정을 여러 차례 반복한 뒤에 완성된 초박막 혈당 센서입니다.

연구진은 이 센서를 주의 피부에 부착한 뒤 4시간 연속 혈당을 측정했습니다.

그 결과 20분 마다 쥐의 피를 뽑아 측정한 혈당 수치와 센서에서 연속으로 측정된 혈당 수치가 정확하게 일치했습니다.

 

 

[이원령 / KIST 생체재료연구센터 선임연구원 : 매번 침을 찔러야 하는 불편함과 혹시 모를 돌발사태에 대비해서 몸에 착용감 없이 연속적으로 당을 측정하는 플랫폼이 있으면 환자들의 삶의 질을….]

 

 

 

 

연구진은 초박막 혈당 센서와 비슷한 두께의 통신 장치도 개발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당뇨 환자가 매번 피를 뽑지 않아도 혈당 센서만 피부에 붙이면 2주 정도 관리가 가능하게 되는 셈입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적인 국제학술지 'Cell'의 자매지인 '디바이스(Device)'에 게재됐습니다.

YTN 김진두입니다.

 

ㅊㅊhttps://m.ytn.co.kr/news_view.php?s_mcd=0106&key=202310290624112704&pos=

 

 

 

+

기존에 쓰는거 있다길래 뭐가다른지 찾아봤는데 이런가봐

https://naver.me/FIoYKfl9

 

 

 

(가) 두꺼운 추가 접착제나 밴드가 필요한 일반적인 마이크로니들 센서 모식도. (나) 패턴화된 피부 접착제와 젤 전해질로 인해 추가적인 접착제나 밴드가 필요하지 않은 피부 일체형 마이크로니들 센서 모식도.(다) 광패턴된 젤과 접착제가 적용된 마이크로니들 포도당 센서 사진. (라) 인공 피부에 등각적으로 부착된 3개의 마이크로니들 포도당 센서 패치 사진. (이원령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박사 제공) 2023.10.20 /뉴스1

 

등록된 샷 리스트
베스트 댓글
댓글 10
댓글 정렬방식 선택
  • 선택됨
  • Loading...
  • Loading...
  • Loading...
  • Loading...
  • Loading...
  • Loading...
  • Loading...
  • Loading...
  • Loading...
  • Loading...
페이지 위치정보
  1. 현재 페이지1
    글자 수0/총 글자 갯수600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테이블에 앉아보세요!
    누구나 가입이나 등업없이 글을 쓰고 읽을 수 있는오픈형 커뮤니티 테이블테이블 소개 이미지테이블 자세히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