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내 프로필 바로가기인기있는 테이블 리스트 바로가기추천 테이블 리스트 바로가기
GM작물, 식량위기 구원투수 될까

 

기사 전문 : https://www.hkb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13937 

 

식량자급률 20.2%에 불과, 식량자급률 높일 대책 시급

[환경일보] 기후위기, 코로나 팬데믹,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등으로 세계 식량 공급에도 큰 위기를 불러오고 있는 가운데 ‘우리 식량 무엇이 문제인가?’를 주제로 제209회 한림원탁토론회가 온‧오프 동시 개최됐다. 이날 토론회는 GM작물 생산을 통한 식량위기 극복 방안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뤄졌다.

우리나라는 곡물 자급률이 20% 수준에 불과하고, 곡물을 비롯한 식량 수입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1970년대 80.5%에 비하면 대폭 후퇴한 수치다.

 

곡물별 자급률을 살펴보면 ▷쌀 92.8%(41만톤 수입) ▷밀 0.5%(361만톤 수입) ▷콩 7.5%(129만톤 수입) ▷옥수수 0.7%(1165만톤 수입) 등으로, 쌀을 제외한 곡물 대부분을 수입하고 있다.

식량안보와 밀접한 식량자급률을 높이려면 벼재배, 가축사육 등이 보다 활발해져야 한다. 이 과정에선 온실가스 배출이 불가피하다. 기후위기 대응과 식량안보 두마리 토끼를 잡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

 

우리나라의 2021년 현재 수입 곡물의 65%인 1115만톤을 GM작물로 수입하는데 34.6억 달러를 사용하고 있다. 식품용으로는 175.5만톤(15.7%), 사료용으로는 939만톤(84.3%)을 수입했다.

 

고려대학교 식품공학과 박현진 교수의 사회로 시작된 이날 토론회에서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곽상수 책임연구원이 ‘식량정책 무엇이 문제인가’를 주제로 발표했고 ▷경상국립대학교 SRC 식물생체리듬연구센터 이상열 석좌교수가 ‘생명공학품종 개발 현황과 대책’을 주제로 발표했다.

댓글 0
댓글 정렬방식 선택
  • 선택됨
      글자 수0/총 글자 갯수600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테이블에 앉아보세요!
      누구나 가입이나 등업없이 글을 쓰고 읽을 수 있는오픈형 커뮤니티 테이블테이블 소개 이미지테이블 자세히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