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공무원으로 근무하면 기본급 외에도 다양한 수당을 받을 수 있어요.
공무원 수당의 종류와 지급 조건을 한눈에 정리해 드릴게요!
📌 공무원 수당이란?
공무원은 **호봉제(연차에 따라 급여 상승)**로 급여를 받지만,
업무 성격, 근무 환경 등에 따라 추가적으로 수당이 지급돼요.
✔ 기본급 + 수당 = 최종 월급
✔ 수당이 많을수록 실수령액이 증가!
1️⃣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수당 (기본 수당)
✅ 1. 정근수당 (근속에 따른 보상)
✔ 지급 대상: 재직 기간이 1년 이상인 공무원
✔ 지급 시기: 매년 1월, 7월 (연 2회)
✔ 지급 금액: 기본급의 5~50% (근속 연수에 따라 차등 지급)
✅ 2. 가족수당 (부양 가족이 있는 경우)
✔ 지급 대상: 배우자, 자녀, 부모 등을 부양하는 공무원
✔ 지급 금액:
- 배우자: 4만 원
- 자녀 1명당: 2만 원 (셋째 이상은 6만 원)
- 부모(직접 부양 시): 2만 원
✅ 3. 주택수당 (공무원 숙소 사용료 지원)
✔ 지급 대상: 공무원 숙소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
✔ 지급 금액: 월 2만 원
✅ 4. 직급보조비 (직책에 따른 추가 지원)
✔ 지급 대상: 6급 이하 공무원에게 지급
✔ 지급 금액: 6급 이하 공무원 - 월 13~14만 원
2️⃣ 특정 조건에서 지급되는 수당 (특별 수당)
✅ 5. 초과근무수당 (야근·추가 업무)
✔ 지급 대상: 초과 근무(야근, 주말 근무)하는 공무원
✔ 지급 금액: 근무 시간에 따라 차등 지급
✅ 6. 야간·휴일 근무수당
✔ 지급 대상:
- 야간(오후 10시~오전 6시) 근무
- 주말·공휴일 근무
✔ 지급 금액: 근무 시간에 따라 차등 지급
✅ 7. 특수업무수당 (특정 직무 수행 시)
✔ 지급 대상: 경찰, 소방, 의료진, 연구직 등
✔ 지급 금액: 직무별로 다름 (월 10~50만 원 수준)
3️⃣ 일시적으로 지급되는 수당 (성과·보상 수당)
✅ 8. 성과상여금 (업무 성과에 따라 지급)
✔ 지급 대상: 성과 평가에 따라 차등 지급
✔ 지급 금액: 직급·성과에 따라 다름 (연 1~2회 지급)
✅ 9. 명절휴가비 (설·추석 지급)
✔ 지급 대상: 공무원 전원
✔ 지급 금액: 기본급의 60% (연 2회)
✅ 10. 퇴직수당 (퇴직 시 지급)
✔ 지급 대상: 1년 이상 근무 후 퇴직하는 공무원
✔ 지급 금액: 근무 연수와 직급에 따라 차등 지급
공무원 수당은 기본급을 보완하는 중요한 부분이에요.
각종 수당을 활용하면 실수령액을 더욱 늘릴 수 있어요!
그외에도 다양한 팁과 정보를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보세요 :)
- 선택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