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내 프로필 바로가기인기있는 테이블 리스트 바로가기추천 테이블 리스트 바로가기
고전 읽기
[중용(中庸)] 致曲(치곡)이니 曲能有誠(곡능유성)이니라.

[중용(中庸)]

致曲(치곡)이니 曲能有誠(곡능유성)이니라.

誠則形(성즉형)하고 形則著(형즉저)하고,

著則明(저즉명)하고 明則動(명즉동)하고,

動則變(동즉변)하고 變則化(변즉화)니,

唯天下至誠(유천하지성)이야 爲能化(위능화)니라.

 

 

이 구절은 중국 고전 철학서인 "중용"에서 발췌한 것으로, 도덕적 완전성에 대한 이상적인 접근과 그것이 가져오는 변화의 연속성을 설명합니다. 여기에서는 "치곡(致曲)" 즉, 최선을 다해 성실함을 달성하는 과정을 통해 우주의 변화와 발전을 이끌어낼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이 구절을 하나하나 살펴보겠습니다:

"치곡이니 곡능유성이니라" (致曲曲能有誠) - 사람이 최선을 다해 노력하면, 그 노력은 진실함을 이룰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여기서 '곡'은 굴곡 없이 바르게 행동하는 것을 의미하며, '성'은 진실함을 의미합니다.

"성즉형하고 형즉저하고" (誠則形 形則著) - 진실함이 구체적인 형태를 갖추면, 그 형태는 분명하게 드러납니다. 여기서 '형'은 구체적인 형태나 외형을, '저'는 그 형태가 분명하게 나타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저즉명하고 명즉동하고" (著則明 明則動) - 명확하게 드러난 것은 밝게 빛나고, 밝게 빛나는 것은 움직임을 일으킵니다. '명'은 밝음을, '동'은 움직임을 의미합니다.

"동즉변하고 변즉화니" (動則變 變則化) - 움직임은 변화를 초래하고, 변화는 다시 변형을 일으킵니다. '변'은 변화를, '화'는 근본적인 변형을 의미합니다.

"유천하지성이야 위능화니라" (唯天下至誠 爲能化) - 이 구절은 진정으로 완전한 성실함만이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궁극적인 결론을 내립니다. '지성'은 완전한 진실함을, '화'는 큰 변형이나 변화를 의미합니다.

이렇게 "중용"은 도덕적 진실성이 어떻게 개인의 내면에서 시작하여 우주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지를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는 도덕적 실천을 통해 이상적인 질서를 세상에 구현하려는 유교의 중심 사상을 반영합니다.

등록된 샷 리스트
댓글 0
댓글 정렬방식 선택
  • 선택됨
      글자 수0/총 글자 갯수600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테이블에 앉아보세요!
      누구나 가입이나 등업없이 글을 쓰고 읽을 수 있는오픈형 커뮤니티 테이블테이블 소개 이미지테이블 자세히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