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내 프로필 바로가기인기있는 테이블 리스트 바로가기추천 테이블 리스트 바로가기
고전 읽기
[노자(老子)] 躁勝寒(조승한)하고 靜勝熱(정승열)하니,

[노자(老子)]

躁勝寒(조승한)하고 靜勝熱(정승열)하니,

淸淨(청정)이 爲天下正(위천하정)하느니라.

 

이 구절은 노자(老子)의 도덕경에서 가져온 것으로, 동양 철학과 자연주의 사상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각 구절의 해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躁勝寒(조승한): "동작이 차가움을 이긴다"는 의미로, 활동적인 상태가 차가운 기후나 상황에서의 불편함을 극복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躁(조)'는 바쁘거나 활동적인 상태를, '勝(승)'은 이기다, 우위를 차지하다는 뜻이고, '寒(한)'은 차가움을 의미합니다.
靜勝熱(정승열): "정적인 상태가 더움을 이긴다"는 의미로, 조용하고 평온한 상태가 더운 날씨나 열정적인 감정의 과열을 진정시킬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靜(정)'은 조용하거나 정적인 상태를, '熱(열)'은 더움이나 열정적인 상태를 의미합니다.

 

淸淨(청정)이 爲天下正(위천하정)하느니라: "청정함이 천하를 바르게 한다"는 의미로, 순수하고 깨끗한 마음과 상태가 세상을 올바르게 이끈다는 사상을 나타냅니다. '淸淨(청정)'은 순수하고 깨끗한 상태를, '爲(위)'는 ~이 되다의 의미를, '天下(천하)'는 세상을, '正(정)'은 올바름을 의미합니다.


이 구절 전체적으로는 자연의 원리와 인간 생활의 조화, 그리고 극단적인 상황에서의 균형과 조화를 추구하는 도덕경의 핵심 사상을 반영합니다. 활동과 정적, 더움과 차가움 사이의 균형을 찾음으로써 내적 평화와 외적 조화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또한, 내면의 청정함과 순수함이 외부 세계의 변화와 도전에 대응하는 방식을 지도하며, 이러한 내면의 상태가 세상을 올바르게 이끌 것임을 선언합니다.

등록된 샷 리스트
댓글 0
댓글 정렬방식 선택
  • 선택됨
      글자 수0/총 글자 갯수600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테이블에 앉아보세요!
      누구나 가입이나 등업없이 글을 쓰고 읽을 수 있는오픈형 커뮤니티 테이블테이블 소개 이미지테이블 자세히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