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내 프로필 바로가기인기있는 테이블 리스트 바로가기추천 테이블 리스트 바로가기
고전 읽기
[논어 - 자로(子路)] 毋欲速(무욕속)하며, 毋見小利(무견소리)니라.

[논어 - 자로(子路)]

毋欲速(무욕속)하며,

毋見小利(무견소리)니라.

欲速則不達(욕속즉부달)하고,

見小利則大事不成(견소리즉대사불성)이니라.

 

이 구절은 공자의 가르침을 담은 고전 "논어"에서 "자로" 장에 나오는 말입니다. 이 구절의 해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毋欲速(무욕속): 서두르지 마라.
毋見小利(무견소리): 작은 이익에 눈독 들이지 마라.
欲速則不達(욕속즉부달): 서두르면 목적에 이르지 못한다.
見小利則大事不成(견소리즉대사불성): 작은 이익을 보면 큰 일을 이루지 못한다.

 

이 구절은 인내와 장기적 관점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서두름과 단기적인 이익 추구는 결국 목표 달성을 방해하고 큰 성공을 얻지 못하게 한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공자는 여기서 인간의 욕심과 단기적인 만족을 경계하며, 인내와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더 크고 의미 있는 목표를 이룰 수 있음을 가르칩니다.

이러한 가르침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빠른 성공과 즉각적인 보상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지만, 공자는 이러한 태도가 오히려 장기적인 성공을 방해한다고 지적합니다. 따라서 인내와 장기적인 관점을 유지하며, 단기적인 유혹에 휘둘리지 않는 태도가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전합니다.

등록된 샷 리스트
댓글 0
댓글 정렬방식 선택
  • 선택됨
      글자 수0/총 글자 갯수600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테이블에 앉아보세요!
      누구나 가입이나 등업없이 글을 쓰고 읽을 수 있는오픈형 커뮤니티 테이블테이블 소개 이미지테이블 자세히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