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내 프로필 바로가기인기있는 테이블 리스트 바로가기추천 테이블 리스트 바로가기
고전 읽기
[노자(老子)] 是以兵强則不勝(시이병강즉불승)하고

[노자(老子)]

是以兵强則不勝(시이병강즉불승)하고 木强則共(목강즉공)하니라.

强大處下(강대처하)고 柔弱處上(유약처상)이라.

 

 

 

해당 구절은 노자(老子)에서 나온 것으로,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군대가 강하면 승리하지 못하고, 나무가 강하면 꺾이게 된다.
강한 것은 아래에 있고, 부드럽고 약한 것은 위에 있다."

이 구절은 강함과 약함의 상대적 가치와 그 결과에 대한 도덕적, 철학적 성찰을 담고 있습니다. 강함이 항상 승리를 가져다주는 것이 아니며, 때로는 부드럽고 유연한 것이 더 큰 힘을 발휘할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는 도가(道家) 사상의 중심적인 원리 중 하나인 '유연함에 의한 승리'와 '약한 것이 강한 것을 이길 수 있다'는 사상을 반영합니다.

등록된 샷 리스트
댓글 0
댓글 정렬방식 선택
  • 선택됨
      글자 수0/총 글자 갯수600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테이블에 앉아보세요!
      누구나 가입이나 등업없이 글을 쓰고 읽을 수 있는오픈형 커뮤니티 테이블테이블 소개 이미지테이블 자세히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