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내 프로필 바로가기인기있는 테이블 리스트 바로가기추천 테이블 리스트 바로가기
고전 읽기
[예기 - 曲禮上] 臨財毋苟得(임재무구득)이요.

[예기 - 曲禮上]

臨財毋苟得(임재무구득)이요.

臨難毋苟免(임난무구면)이니라.

很毋苟勝(흔무구승)이요.

分毋求多(분무구다)이니라.

 

이 구절은 "예기 - 曲禮上"에서 나온 것으로, 고전 중국의 유교 경전인 "예기"의 일부입니다. 여기서 제시된 구절들은 덕과 도덕적 원칙을 강조하는 유교적 가르침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각 구절의 해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臨財毋苟得(임재무구득): "재물을 대할 때 경솔하게 얻으려 하지 마라." 이 구절은 재물이나 이익을 추구할 때 성급하거나 부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올바른 방법과 정직한 수단을 통해 재물을 얻어야 함을 의미합니다.

2. 臨難毋苟免(임난무구면):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경솔하게 피하려 하지 마라." 이는 어려움이나 고난을 피하기 위해 무책임하게 행동하지 말고, 용기와 책임감을 가지고 문제에 대처해야 한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3. 很毋苟勝(흔무구승): "경쟁에서 경솔하게 승리하려 하지 마라." 이 구절은 경쟁이나 대립 상황에서 부정한 방법이나 부당한 수단을 사용하여 승리를 추구하지 말아야 함을 강조합니다. 정정당당하게 경쟁하고, 과정의 공정성을 유지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4. 分毋求多(분무구다): "목적을 달성할 때 경솔하게 더 많은 것을 추구하지 마라." 이는 만족을 알고 탐욕을 억제하는 덕을 강조합니다. 자신에게 주어진 몫을 받아들이고, 과도한 욕심을 부리지 않아야 한다는 가르침입니다.

이 네 구절은 모두 인간이 마땅히 따라야 할 도덕적 원칙과 덕목에 대해 강조하고 있으며, 유교의 중심적 가치인 정직, 책임감, 겸손, 만족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등록된 샷 리스트
댓글 0
댓글 정렬방식 선택
  • 선택됨
      글자 수0/총 글자 갯수600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테이블에 앉아보세요!
      누구나 가입이나 등업없이 글을 쓰고 읽을 수 있는오픈형 커뮤니티 테이블테이블 소개 이미지테이블 자세히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