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내 프로필 바로가기인기있는 테이블 리스트 바로가기추천 테이블 리스트 바로가기
고전 읽기
[예기 - 曲禮上] 臨財毋苟得(임재무구득)이요.

[예기 - 曲禮上]

臨財毋苟得(임재무구득)이요.

臨難毋苟免(임난무구면)이니라.

很毋苟勝(흔무구승)이요.

分毋求多(분무구다)이니라.

 

이 구절은 "예기(禮記) - 曲禮上(곡례상)"에서 가져온 것으로, 유교 경전 중 하나인 '예기'의 일부입니다. 각 구절의 해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臨財毋苟得(임재무구득): 재물을 대할 때 탐욕스럽게 얻으려 하지 말라는 뜻입니다. 즉, 재물에 대해 탐욕을 부리지 않고, 정당한 방법으로만 소유하라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2. 臨難毋苟免(임난무구면): 어려움을 마주할 때 쉽게 피하려 하지 말라는 뜻입니다. 즉, 곤란하거나 어려운 상황에서 쉽게 도망치려 하지 않고, 그 상황을 정면으로 마주하며 해결하려는 태도를 가지라는 의미입니다.

3. 很毋苟勝(흔무구승): 싸움에 있어서 억지로 이기려 하지 말라는 뜻입니다. 이는 승리를 강요하거나 부당한 방법으로 승리를 추구하지 말라는 교훈입니다. 대신 공정하고 정당한 방법으로 경쟁하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4. 分毋求多(분무구다): 분배할 때 많이 얻으려 하지 말라는 뜻입니다. 이 구절은 개인의 이득을 추구하기보다는 공정한 분배와 타인과의 균형을 중요시하라는 교훈을 전달합니다. 즉, 탐욕을 버리고 모두가 공정하게 나누어 가질 것을 권장합니다.

전체적으로, 이 구절들은 탐욕을 버리고 정직, 공정, 용기를 가지라는 유교의 중요한 가르침을 담고 있습니다.

등록된 샷 리스트
댓글 0
댓글 정렬방식 선택
  • 선택됨
      글자 수0/총 글자 갯수600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테이블에 앉아보세요!
      누구나 가입이나 등업없이 글을 쓰고 읽을 수 있는오픈형 커뮤니티 테이블테이블 소개 이미지테이블 자세히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