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내 프로필 바로가기인기있는 테이블 리스트 바로가기추천 테이블 리스트 바로가기
고사성어
불문곡직 (不問曲直) - '사리의 옳고 그름을 따져 묻지 않음'


`굽고 곧은 것은 묻지 않다`라는 뜻으로, `사리의 옳고 그름을 따져 묻지 않음`을 비유한다. 진(秦)나라 `이사(李斯)`의 `간축객서(諫逐客書, 다른 제후국 출신 관리를 진나라에서 쫓아내는 것에 대해 간언하는 서신)`에서 유래했다. 본래는 `불문가부, 불론곡직(不問可否, 不論曲直)`이라 했다.
진나라에서는 진나라에서 산생된 것만 사용해야 된다면(必秦國之所生然後可), …… 정나라와 위나라의 여자를 후궁에 둬서도 안 되고 (鄭衛之女, 不充後宮(불충후궁), …… 강남의 금속과 주석도 사용해서는 안 되고(江南金錫不爲用), 서쪽 촉지방의 단청으로도 채색해서는 안 됩니다(西蜀丹靑不爲采). ……

그런데 지금 질그릇을 두드리는 진나라 고유의 음악을 버리고 정나라와 위나라의 음악을 가까이 하시는데(今棄擊甕而就鄭衛), …… 이것은 어째서입니까(若是者何也)? 지금 현재 듣기 좋고 볼만하기 때문입니다(快意當前, 適觀而已矣).

그러나 지금 폐하께서 사람을 등용할 때는 그렇지 않습니다(今取人則不然). 등용할 만한지 묻지도 않고, 옳고 그름도 따지지 않고(不問可否, 不論曲直), 진나라 사람이 아닌 관리는 떠나게 하고, 다른 제후국에서 온 관리를 쫓아냅니다(非秦者去, 爲客者逐).

등록된 샷 리스트
댓글 0
댓글 정렬방식 선택
  • 선택됨
      글자 수0/총 글자 갯수600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테이블에 앉아보세요!
      누구나 가입이나 등업없이 글을 쓰고 읽을 수 있는오픈형 커뮤니티 테이블테이블 소개 이미지테이블 자세히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