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예비군과 민방위 훈련기간과 대상자?
대한민국 남자로 태어나 성인이 되면 꼭 거쳐야 하는
군 복무. 좋든 싫든 무조건 적인 것 중에 하나죠.
군 복무를 마치고도 만 40세 이전까지 위급상황이
생기거든 군 활동을 다시 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 계시나요?
현역군인이 제대하면 예비군으로 활동하며
8년이 지나면 민방위로 군인 신분을 거치게 됩니다.
현역 예비군 민방위 을 제대하면 예비군으로
편성되어 실질적 훈련을 받게 되는 것이며
민방위는 후방에서 시민들을 도와주는 것을 맡게 됩니다.
코로나19 이전 예비군과 민방위 훈련은
집합 훈련으로 되었지만 현재는 사이버교육 예비군 민방위 으로
대체되어 비대면 교육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예비군과 민방위의 차이
예비군이란?
현역군인에서 막 제대한 인원들이 전시상황을
대비하여 창설된 민간인 부대가 예비군입니다.
예비군은 이제 막 현역에서 제대한 분들로
유사시 즉 민방위 교육기간 시 전투가
가능한 군대 조직으로 전화되는 정예부대입니다.
예비군들은 전시에 현역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대한민국을 지키는 주된 병력이 됩니다.
민방위란?
예비군과 달리 평균 나이는 20대 후반
및 30대 초반을 시작으로 40대 미만의
철저한 민간인 조직입니다.
민방위의 창 예비 민방위 교육기간 군 민방위
성 목적 자체는 방호 및 구조,
복구 활동을 주된 목적으로 합니다.
예비군은 전방에서 현역들과 전투를 벌이는 것이
목적 민방위 교육기간 이라면
민방위는 후방에서 지원을 담당하게 됩니다.
민방위의 목적인 후방지원은 민방위대원뿐만 아니라
일반 여성들까지 민방위 대원에 편성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예비군과 민방위의 대상과 기간은?
예비군은 언제부터 예비군이라고 부를까요?
예를 들어 22년 2월달에 전역한 현역 군인은
22년 한 해 동안 예비군 0년 차로 부릅니다.
그다음 해 23년 1월부터 예비군 1년 차로
구분되며 예비군 8 예비군 나이 년 차까지
예비군 신분으로 훈련을 받게 됩니다.
예비군의 계급은 전역한 계급을
그대로 적용하게 됩니다.
병사의 경우 평균 병장을 기본으로 하지만
특수한 경우는 조기 전역한 계급으로 구분됩니다.
병사로 전역을 하신 경우 계급에 따라 예비군으로
편성되는 연령이 달라지게 되는데,
대장 계급으로 전역 시 63세 하사 전역은
한 경우 40세까지 예비군으로 편성되게 됩니다.
어디까지나 일반병사와 간부의 예비군 기간은
다르다는 것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예비군 훈련과 민방위 교육
예비군 1~8년 차 까지 모든 연차에
훈련을 받는 예비군은 훈련 연차에
따라 훈련의 차이가 있습니다.
1 ~ 4년 차의 경우는 2박 3일간의
예비군 부대에서 현역 병사들과
숙박을 하며 훈련하는 동원 훈련
5 ~ 6년 차의 경우 각 주소지의
인근 주민센터에서 실시되는
작계훈련의 교육을 받게 됩니다.
단 1~4년 차의 동원 훈련자로
지정받지 않는 경우에는 3일간 부대로
출퇴근하며 동미 창 훈련 교육이
이루어지는 훈련을 받게 됩니다.
모든 예비군들의 평균적인 훈련내용을 말씀드렸지만,
개인의 보직과 특성에 따라 훈련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학생의 신분으로 예비군 훈련을 참가한 때에는
1년 하루 8시간의 훈련면
받아 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예비군을 이제 막 시작한 분들이라면
본인의 훈련 정보는 직접 조회하셔서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예비 예비군 나이 군 홈페이지를
활용하시면 편리하게 조회 확인 가능합니다.
- 선택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