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기의 뉴스 비틀기] 처참한 사이버 레커 시장... 여성 향한 폭력은 다변화·고도화 되고 있다
[이슬기 기자]
'한국인이 사랑하는 유튜버' 쯔양이 울었다. 보통은 먹거리가 가득 메웠던 탁자 위는 텅텅 비었고, 숨이 막히는 듯 가슴을 탕탕 치는 쯔양의 손만 허우적거렸다. 그는 남자친구였던 전 소속사 대표 A씨로부터 4년간 교제 폭력에 시달리며 40억 원을 갈취당했다. 헤어지려 할 때마다 불법 촬영 영상을 유포하겠다는 협박에 시달렸다. 지난해 쯔양의 고소로 수사가 시작되자 A씨가 극단적 선택으로 사망해 형사 고소는 불송치, '공소권 없음'으로 종결됐다.
그러나 A씨의 강요로 쯔양이 유흥업소에서 일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 유튜버 구제역·전국진 등의 사이버 레커(렉카) 채널이 달려들어 쯔양을 협박했다. 끝끝내 피해 사실이 알려지지 않길 원했던 쯔양이었으나 사이버 레커 폭로에 혈안이 된 가로세로연구소는 그의 의사와 관계없이 이 사실을 터뜨렸다.
쯔양 앞에 놓인 4중의 착취 구조
'천만 유튜버' 쯔양이 놓였던 4중의 착취 구조 앞에 할 말을 잃게 된다. 전 소속사 대표로부터 겪었던 교제폭력, 유흥업소에서 일했다는 사실을 폭로하겠다는 사이버 레커 채널들의 협박, 쯔양이 원치 않았음에도 '렉카연합'의 실체를 알리겠다며 쯔양의 피해 사실까지 폭로한 가로세로연구소까지. 쯔양이 "모두 말씀드리겠다"며 피해 사실을 토로하는 그 순간에도, 실시간 채팅창에는 2차 가해성 댓글이 쉴 새 없이 달렸다. 이는 여성의 고통을 희롱하고 유희로 삼는, '여성혐오 사회'라는 착취 구조의 처음이자 마지막 고리다.
이는 유혈이 낭자한 공포 영화 장르인 '고어(gore)'에 빗댄 '고어 남성성'의 현주소다. 손희정 경희대 비교문화연구소 연구교수는 지난달 열린 한국여성학회 춘계학술대회서 사이버 레커 시장을 일컬어 "고어 남성성이 극명하게 전시되는 장"이라고 했다. 트랜스페미니스트이자 철학자인 사야크 발렌시아는 고어 영화 마냥 폭력과 살인, 신체 훼손과 시신을 자본축적의 수단으로 삼는 것을 '고어 자본주의'라 명명했다. 손 교수가 '고어 자본주의'를 빌려 설명하는 것이 한국의 고어 남성성이다. 이는 디지털을 거점으로 폭력을 정당화하고, 이를 시민권과 자본 축적의 자원으로 삼는 특성을 갖는다. 여성이나 소수자의 신체를 대상화하고 돈벌이 수단으로도 삼는다.
고어 남성성이 지목하는 것처럼, 쯔양을 향한 남성들의 가해 행위는 모두 쯔양이라는 여성의 신체를 겨냥했다. 전 소속사 대표 A씨가 했던 불법 촬영과 폭력, 강압에 의해 유흥업소에서 일한 것 등은 모두 쯔양이 가진 여성으로써의 신체를 타기팅한 일이었다. 가세연의 폭로 이후 쯔양에게 쏟아진 2차 가해성 댓글 또한 비슷한 맥락이었다. 가세연의 녹취에 따르면 유튜버 카라큘라는 구제역과의 통화에서 쯔양을 '황금알을 낳는 거위'에 비유했다. 쯔양이 유튜브 생태계에서 갖는 위상과 함께, 돈벌이 수단으로써 물성화된 쯔양의 신체를 뜻하는 말이다. 더 많은 이익 창출을 위해, 함부로 '갈라선'(폭로해선) 안 된다는 의미를 함축한 표현이기도 했다.
참을 수 없는 '정의 구현'의 가벼움
쯔양을 둘러싼 사이버 레커들의 가해 행위는 그들의 모토였던 '사적 제재'와 '정의 구현'이 얼마나 허황하고 얄팍한 구호였는지를 만천하에 공개했다. 녹취에 따르면 "내가 그 사실을 알고 있다"는 뉘앙스만으로 돈을 받아 챙기려는 이와 본인도 쯔양의 피해 사실을 지렛대 삼아 협박을 이어가면서 쯔양의 '리스크 매니지먼트' 컨설턴트를 자임하는 이도 있다. 이들 아귀다툼을 신명 나게 폭로하고, 쯔양의 의사는 안중에도 없는 가세연도 있다. 사이버 레커 채널들이 가해자 신상 공개를 통해 큰 수익을 벌어들인 한편, 다시 한 번 고통 받는 피해자가 생겨난 밀양 성폭행 사건과 비슷한 경로다. 거기서도 사이버 레커 채널들이 당초 밝힌 것과 달리 피해자의 동의는 '없었다'.
페미니스트 법철학자 마사 누스바움은 책 <불편한 인터넷>에서 사람을 대상화하는 방식을 일곱 갈래로 분류한다. 그 가운데 쯔양의 사례는 최소 세 가지에 해당된다. 사람을 돈벌이 수단으로 보는 '도구성'은 말할 것도 없다. 내가 가진 정보가 폭로되면 너의 자리가 위태로우리라는 협박은 대상의 경계를 언제라도 침입해 부서뜨리거나 박살낼 수 있다는 '가침성'에 해당된다. 대상의 경험과 느낌을 고려하지 않고 피해 사실을 공개하는 '주체성 거부'의 경우까지, 우리는 쯔양을 둘러싼 착취의 먹이사슬에서 모조리 목도하고 있다.
"죄송하다"는 쯔양 앞에서
카메라 앞에 선 쯔양은 연신 "죄송하다" 했다. "제가 피해자였다고 하더라도 제가 한 일이 있으니까요. 제가 억지로 한 거라고 해도 그렇잖아요. 제가 잘못한 거죠." 그는 강압에 못 이겨 술집에서 일했던 기억을 두고 거푸 그렇게 사과를 했다.
여성의 신체를 수단으로 하는 성별화된 착취가 엄존하는 것은 뒷전으로 하고, 여성을 단죄하는 죄목으로 '업소녀'의 혐의는 상습적으로 드리워진다. 쯔양에게도 마찬가지였다. 그는 4년이라는 짧지 않은 세월을 교제폭력에 시달렸으되, 용기 있게 대중들에 피해 사실을 드러낸 인물이다. 그에게 우리가 보내야 할 것은 아낌없는 응원과 위로이지, 혐오의 발화는 아닐 것이다.
더불어 사이버 레커가 오늘날의 영향력을 갖기까지, 공조한 우리 스스로를 질책해야 한다. 이들이 무분별한 프라이버시 폭로로 돈을 벌고, '리스크 매니지먼트'를 해주겠다며 돈을 갈취하기까지 이들 행보에 감응해 온 시장은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이들 수익의 창구이며 덩달아 돈을 버는 유튜브와 사이버 레커 자체에 대한 입법적인 제재도 물론 필요하다. 그러나 '니즈'만 있다면 제2의 유튜브와 제3의 사이버 레커는 계속해서 태어날 공산이 크다. 그러하면 더욱 나무랄 것은 이에 공모한 우리의 손가락이다.
남편의 강요·감금·협박으로 '성인 방송'에 출연했던 여성은 피해를 호소하는 유서를 남긴 채 사망했다. '버닝썬 게이트'를 규명하는데 앞장서며 취재기자에게 "저도 리벤지 포르노 피해자잖아요"라고 했던 가수 구하라도 우리는 떠나 보냈다. 그리고 여전히, 유사 사례가 이어지는 와중에 여성이 겪는 폭력은 더욱 다변화·고도화되고 있다. '고어 남성성'에 반대되는 '고어 여성성'이란 게 있다면 남성에 의해 해체된 여성의 신체, 그 자체일까. 이 착취의 사슬을 어찌할 것이냐고, 기술이 발달할 때마다 플랫폼 탓만 할 것이냐고. 오늘 여기를 사는 여성들이 묻고 있다.
- 선택됨
- 현재 페이지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