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내 프로필 바로가기인기있는 테이블 리스트 바로가기추천 테이블 리스트 바로가기
뉴스를 읽다
빅5 속속 휴진 철회… 정부 "이달 내 복귀 안 하는 전공의는 사직 처리를"

가톨릭대 교수 "휴진보다 경증환자 진료 축소로"
무기한 휴진 선언한 연세대·울산대도 철회 압박
정부 "전공의 요구안 대부분 논의 중" 복귀 촉구

대한의사협회(의협)와 주요 대학병원의 무기한 휴진 계획이 속속 철회되면서 의정 간 대화 분위기가 무르익고 있다. 미복귀 전공의 문제가 대화 성사의 최대 난관으로 꼽히는 가운데, 정부는 전공의들의 대정부 요구사항을 적극 실행하고 있다며 조속한 복귀를 촉구하는 동시에 수련병원에는 이달 말까지 복귀하지 않는 전공의는 사직 처리해줄 것을 요청하며 강온전략 구사에 나섰다.

가톨릭대 의대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25일 회의를 연 뒤 "무기한 휴진을 당분간 유예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비대위에는 5대 상급종합병원(일명 빅5 병원) 중 하나인 서울성모병원을 포함해 가톨릭의료원 산하 병원에서 근무하는 교수들이 소속돼 있다. 비대위는 "지난 21일부터 24일까지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 약 70%의 교수가 휴진보다는 경증 환자 진료를 최소화하는 진료 축소의 형식으로 투쟁해야 한다는 의견에 동의했다"고 전했다. 다만 비대위는 "다양한 형태로 잘못된 정부 정책에 대한 항의와 저항을 계속할 것"이라고 여지를 뒀다.

빅5 병원의 휴진 계획 철회가 이어지면서 조만간 의정 대화가 이뤄질 거란 전망도 힘을 얻고 있다. 앞서 서울대병원이 21일 무기한 휴진을 중단했고, 삼성서울병원을 수련병원으로 둔 성균관대 의대 교수들도 이날 총회를 열고 휴진 일정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연세대(세브란스병원)와 울산대(서울아산병원) 의대 교수들은 각각 이달 27일, 내달 4일부터 무기한 휴진을 예고했지만, 휴진을 강행할 내부 동력이 유지될지 미지수라는 관측이 나온다.

정부는 남은 변수인 전공의 복귀에 총력을 기울이는 모습이다. 권병기 보건복지부 필수의료지원관은 25일 중앙재난대책안전본부(중대본) 브리핑에서 "수련생인 전공의에 과도하게 의존하던 과거 모습으로 회귀하지 않겠다"며 전공의들의 복귀를 촉구했다. 권 지원관은 대한전공의협의회가 지난 2월 발표한 '7대 요구안' 가운데 △과학적 의사 수급 추계를 위한 기구 설치 △수련병원 전문의 채용 확대 △불가항력 의료사고에 대한 법적 대책 △열악한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은 적극 논의해 실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나머지 3개 요구는 △의대 증원 계획 및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전면 백지화 △전공의 대상 부당한 명령 전면 철회 △업무개시명령 전면 폐지다.

정부는 그러면서도 각 수련병원에 "이달 말까지 전공의 복귀를 설득하고 비복귀자는 사직 처리를 해달라"고 요청했다. 오는 9월 수련병원들이 전공의 결원을 추가 모집하려면 정부 지침상 7월 중순까지 모집 대상과 일정을 확정해야 하고, 이를 위해선 전공의 복귀자와 미복귀자를 구분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이탈 전공의들에게 내린 행정명령을 이달 초 철회한 것 이상으로 구제책을 내놓을 계획이 없다는 뜻도 밝혔다. 권 지원관은 "사직한 전공의가 올해 하반기 레지던트에 지원할 수 있게 해달라고 수련병원들이 건의해 검토 중이지만, 현장을 지킨 전공의와의 형평성 문제가 있어 정부의 (부정적) 입장에 변화가 없다"고 말했다.

박지영 기자 (jypark@hankookilbo.com)

등록된 샷 리스트
댓글 0
댓글 정렬방식 선택
  • 선택됨
      글자 수0/총 글자 갯수600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테이블에 앉아보세요!
      누구나 가입이나 등업없이 글을 쓰고 읽을 수 있는오픈형 커뮤니티 테이블테이블 소개 이미지테이블 자세히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