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내 프로필 바로가기인기있는 테이블 리스트 바로가기추천 테이블 리스트 바로가기
뉴스를 읽다
서울대병원 진료실 '반토막'…"공공병원이 먼저 파업하냐"[현장]

서울대 의대 교수 50% 이상 휴진 참여
서울대병원 등 진료실 운영 절반 수준
"다행히 담당교수 출근했지만…계속 불안"

[서울=뉴시스] 김남희 조성하 이태성 황진현 인턴 기자 = 서울대병원 교수 절반 이상이 17일부터 무기한 휴진에 돌입했다. 이날 뉴시스가 찾은 병원은 진료실 가동이 반토막 난 모습이었다.

서울대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강남센터 등 4개 서울대병원 교수 절반가량이 오늘부터 휴진한다. 참여자는 전체 교수의 54.7%에 달하는 529명이다.

서울 종로구의 서울대병원 암병동 두경부암센터는 이날 진료실 13곳 중 6곳만 운영하고 있었다. 암병동을 찾은 환자들은 자신의 담당 교수가 휴진에 참여하지 않아 다행이라면서도 불안을 숨기지 못했다.

김모(76)씨는 "오늘 검진 결과를 들으러 왔는데 다행히 교수님이 나왔다고 한다. 파업에 동참하는 건지 물어볼 수도 없는 노릇"이라며 "난 십여년 전에 암수술을 하고 얼마 전 탈장수술도 했다. 죽기는 싫은데 참"이라고 토로했다.

초등학생 딸의 뇌종양 진료를 위해 뇌종양센터를 찾은 장모(42)씨는 "휴진 때문에 상담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아이가 작년에 수술을 했는데 의료진이 없으니 약 부작용에 대한 대처가 제대로 없다"며 "아이가 큰 수술을 했는데 많이 힘들다"고 말했다.

이어 "아이가 한 번씩 응급실을 오게 되면 여기로 와야 하는데 받아주지 않아서 쓰러졌다. 근처 병원에서 받아줘서 응급처치를 했지만 많이 어렵고 힘든 상황"이라고 밝혔다.

서울대의대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중증·희귀질환 환자 진료와 응급실·중환자실 같은 필수분야 진료는 계속한다'는 방침을 밝혔으나, 이미 현장에선 응급 진료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는 목소리가 나온 것이다.

암 투병 중인 부인과 함께 병원을 방문한 이모(66)씨는 "의사가 파업에 동참해서 항암치료 중간검사 4가지 중에 초음파 검사는 빼고 한다고 한다"며 "서울대병원은 일반 대학병원과 달리 국가에서 지원하는 공공병원이라는 상징성이 있는 이럴 때 먼저 손해보고 헌신해야 하지 않냐"고 지적했다.

서울대병원은 소화기내과 진료실 14곳 중 4곳, 내분비 진료실 4곳 중 2곳만 진료가 이뤄지고 있다.

내분비질환으로 내원한 최모(59)씨는 "갑상선수술이 작년 6월 검진 후 1년째 연기되고 있는데 연락도 없다. 악성암이 아니라는 이유로 계속 미뤄지는 것 같다"며 "담당 의사가 휴진하는지 연락도 없다"고 밝혔다.

서울 동작구에 위치한 보라매병원도 신경과 교수 3명 중 1명, 신경외과 교수 2명 중 1명이 휴진 중이었다. 이밖에 당뇨내분비센터 3명 중 1명, 갑상선센터 2명 중 1명, 폐센터 3명 중 1명, 피부과 2명 중 1명이 출근하지 않았다.

성형외과와 외과, 정형외과, 신장내과, 산부인과, 정신의학과는 담당 교수들이 휴진없이 출근한 것으로 파악됐다. 1~2층에 위치한 전체 13개 진료과 중 7개과가 휴진에 참여하고, 의사 수 기준으로는 26명 중 7명이 휴진한 것으로 보인다.

만난 한 봉사자는 뉴시스에 "평소보다 환자가 30%는 줄어든 것 같다"고 전했다.

출산을 앞둔 딸을 돌보는 유모(64)씨는 "딸이 만삭인데 조산 우려가 있어서 입원하고 있다. 그런데 의료진도 안 보이고 입원실도 병원도 텅텅 비어있다"며 "산부인과도 폐쇄되는 건 아닌지 불안할 정도"라고 우려를 표했다.

아들의 CT검사를 위해 방문한 신모(52)씨는 "여기는 공공병원이라 다른 데보다 어려운 분들이 많이 오는 걸로 안다"며 "서울대가 국립대학이라서 등록금 혜택을 본 건데 사회에 환원하는 마음이 있어야지. 지금 휴진하는 건 환자들보고 죽으라는 거냐"고 비판했다.

보라매병원은 저소득층과 소외계층이 많이 찾는 공공의료기관으로 서울대병원이 수탁 운영 중이다. 공공의료 기능을 하는 데 따라 서울시로부터도 운영보조금을 받고 있다.

서울대병원 등이 무기한 휴진을 선언한 만큼 향후 진료실뿐만 아니라 수술장 가동률도 절반 수준으로 떨어질 것이란 예측이 나온다. 정부는 휴진으로 병원 손실이 발생하면 구상권 청구를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nam@newsis.com, create@newsis.com, victory@newsis.com, jinhyunh97@newsis.com

등록된 샷 리스트
댓글 0
댓글 정렬방식 선택
  • 선택됨
      글자 수0/총 글자 갯수600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테이블에 앉아보세요!
      누구나 가입이나 등업없이 글을 쓰고 읽을 수 있는오픈형 커뮤니티 테이블테이블 소개 이미지테이블 자세히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