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내 프로필 바로가기인기있는 테이블 리스트 바로가기추천 테이블 리스트 바로가기
뉴스를 읽다
처음 입장 밝힌 ‘밀양 집단 성폭행’ 피해자 “2차 피해 절대 없어야…유튜버 자제해달라”

성폭력상담소 통해 전달

“잠깐 반짝하고 피해자에게 상처만 주고 끝나지 않길 바랍니다. 경찰·검찰에게 2차 가해를 겪는 또 다른 피해자가 두 번 다시 나오지 않았으면 합니다. 2차 피해가 절대 생기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밀양 집단 성폭력 사건’ 피해자와 가족은 13일 한국성폭력상담소를 통해 밝힌 입장문에서 이렇게 말했다. 피해자가 이번 사안에 대해 구체적인 심경과 입장을 밝힌 건 처음이다. 최근 일부 유튜버들의 일방적인 가해자 신상공개로 사건이 20년 만에 재조명됐지만 피해자의 동의를 받지 않았다는 비판과 함께 잘못된 신상털기 논란 등은 되레 피해자를 힘들게 했다.

피해자는 우선 “혼자가 아니란 걸 느꼈고, 잊지 않고 관심 가져주셔서 너무 감사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앞으로도 유튜버의 피해자 동의·보호 없는 이름 노출, 피해자를 비난하는 행동은 삼가셨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한국성폭력상담소는 이날 피해자의 입장을 전하고 이를 논하는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20년간 피해자를 지원해 온 상담소를 비롯해 조력자들과 피해자 측이 이번 사안에서 하고 싶은 말은 간담회 제목인 ‘피해자 삶에서, 피해자의 눈으로, 피해자와 함께 말하기’라고 했다.


이들은 2004년 밀양 사건 발생 20년이 지난 지금도 피해자 동의 없이 피해자 정보가 확산되는 문제가 반복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혜정 한국성폭력상담소 소장은 “과거 방송사와 경찰의 문제는 현재 유튜버의 문제로 바뀌며 반복되고 있다”며 “성폭력 피해자가 일상에서 평온할 권리는 국민의 알권리에 우선하는 생존권”이라고 말했다.

20년 전 사건에서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한 수사기관과 사법부의 행태가 되풀이돼선 안 된다는 지적도 나왔다. 피해자를 최초 상담했던 김옥수 전 울산생명의전화 가정·성폭력상담소장은 사건 당시 성인지 의식이 부족했던 경찰·검찰의 수사 과정, 진술녹화실 부재로 인한 2차 피해, 법원의 솜방망이 처분 등의 문제를 짚었다.

가해자에 대한 응징만큼 피해자의 일상 회복을 위한 지원이 더 활발히 논의돼야 한다는 점도 강조됐다. 20년간 피해자와 가족을 지원해 온 이미경 한국성폭력상담소 이사는 “피해자가 기본적으로 생활할 수 있는 물적 토대가 전혀 지원되지 않는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지 사회적으로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송이 기자 songyi@kyunghyang.com

등록된 샷 리스트
댓글 0
댓글 정렬방식 선택
  • 선택됨
      글자 수0/총 글자 갯수600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테이블에 앉아보세요!
      누구나 가입이나 등업없이 글을 쓰고 읽을 수 있는오픈형 커뮤니티 테이블테이블 소개 이미지테이블 자세히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