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내 프로필 바로가기인기있는 테이블 리스트 바로가기추천 테이블 리스트 바로가기
뉴스를 읽다
결국 다 최첨단 수동- chat GPT 숨어있는 미세노동
댓글 0

최첨단 AI는 무슨 AI냐 

결국 다 사람 손 일일이 거쳐서 만드는 일 

 

연일 언론의 'IT' '테크' 뉴스에 빠지지 않는 기업과 서비스들이 있다. 챗GPT 개발사 오픈AI, 유튜브와 구글 검색엔진에 이어 챗GPT 대항마 바드를 내놓은 구글, 그리고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에 이어 트위터 킬러로 불리는 스레드를 출시한 메타, 일론 머스크의 전기차업체 테슬라와 트위터까지. 이들 업체는 우리의 삶을 더 '스마트'하게 만들어준다고 강조하며 연일 '혁신'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보이지 않는 노동이 있다.

영국의 대안적 싱크탱크 '오토노미'(Autonomy)의 선임연구원 필 존스의 저서 <노동자 없는 노동>은 인공지능 등 기술 개발 과정에서 남반구 국가, 제3세계, 빈민 등의 '수작업'이 요구되는 초단기 임시직 노동이 이뤄지고 있다며 이를 '미세노동'(microwork)이라 했다. 이는 관련 업체들이 실제로 쓰는 표현이기도 하다. 미국의 인류학자인 메리 그레이와 컴퓨터 과학자인 시다스 수리는 사람들이 자동화됐다고 생각하는 기계 뒤에서 투명인간처럼 일하는 노동이라는 의미에서 '유령 노동'(ghost work)이라는 표현을 쓰기도 했다.

이는 오픈AI만의 문제는 아니고, 케냐에서만 벌어진 일도 아니다. 챗GPT 대항마 구글 바드 역시 비슷한 논란이 제기됐다. 지난 12일(현지시간) 블룸버그는 구글이 바드가 내놓은 답변이 충분한 근거를 갖고 있는지 검증하는 노동을 하는 노동자들의 고충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구글은 관련 업무를 호주에 기반을 둔 데이터업체 아펜과 글로벌 컨설팅 업체 액센추어 등에 외주를 맡겼다.

이들 업체와 계약을 맺고 하는 노동자들은 특정 문장이 제시될 때마다 3분 내에 검토를 마쳐야 했다. 제시된 정보가 '독특한지' '새로운 내용인지' '일관적인지' 등 6가지 요소를 살펴보며 검토하고 답변이 선정적이거나 부정확하거나, 공격적인지도 확인해야 했다. 노동자들은 과로와 저임금에 시달렸다.

 

“정부는 산업을 강조하고, 사람들은 디지털이 가진 측면에 환상을 갖게 된다”

 

https://v.daum.net/v/20230722210504504

 

등록된 샷 리스트
댓글 0
댓글 정렬방식 선택
  • 선택됨
      글자 수0/총 글자 갯수600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테이블에 앉아보세요!
      누구나 가입이나 등업없이 글을 쓰고 읽을 수 있는오픈형 커뮤니티 테이블테이블 소개 이미지테이블 자세히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