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내 프로필 바로가기인기있는 테이블 리스트 바로가기추천 테이블 리스트 바로가기
판&톡
"제가 죽었다고요?"... 나도 몰래 '사망' 처리된 생존자 10년간 1200명

자신도 모르게 사망자 처리된 주민등록을 부활시키기 위해 법원을 찾는 이가 최소 매년 수십 명이다. 17일 대법원 사법연감에 따르면,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10년간 전국 가정법원의 '실종선고'와 '실종선고 취소' 건수는 각각 1만5,378건, 1,202건이다. 법원은 실종 상태로 5년(선박·항공기 등 실종은 1년)이 지난 사람을 가족이나 검사 등의 청구에 의해 숨진 것으로 간주하는데, 이런 실종선고의 7.8%가 취소되는 셈이다.

 

'살아 있는 망자'의 상당수는 노숙자로 추정된다. 이들이 사망 처리를 되돌리기(실종선고 취소)가 그리 어려운 작업은 아니지만, 노숙자란 특성 때문에 꽤나 많은 이가 아예 자신의 생존을 국가에 재등록하는 절차 자체를 포기하고 만다.

 

상당수 노숙자들은 행정서비스를 받거나 관공서를 방문하는 일이 아예 없기 때문에, 자신이 사고나 범죄에 연루된 다음에야 실종선고(사망 처리) 사실을 알게 된다. 실제 유모(64)씨는 2017년 인력거를 끌다 승용차와 접촉사고가 난 뒤에야 경찰 신원조회 과정에서 본인이 서류상 사망 상태라는 걸 들었다고 한다. 법원이 실종선고를 내린 지 2년이 넘은 시점이다.

 

서류상 죽음을 안다 해도 취소 심판을 청구하는 건 또 다른 문제다. 먹고살기도 빠듯한데 인지대까지 납부해가며 △청구서를 작성하고 △법원의 보정명령을 받아 △주민등록표등본 등을 뗀다는 게 쉽지 않다. 서울 구로구에서 노숙하던 B(53)씨가 6월 절도죄로 검거되기 전까지 6년간 사망자로 살아왔던 것도 "법률 자문을 받을 길이 없어서"였다고 한다.

 

실종선고 당시 주소지가 현재 거주지와 다르면 일은 더 복잡해진다. 사망 간주된 인물과 자신이 동일인이라는 것을 증명하는 가장 강력한 증거인 '지문 조회'는 최후 주소지 관할경찰서에서 해야 하기 때문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서류상 사망자로 처리된 이들 상당수가 아무런 행정서비스를 받지 못한 채 사회안전망 바깥에서 살아가고 있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대한법률구조공단이나 한국가정법률상담소 등에서 무료 법률상담을 받을 수는 있다. 하지만 이 역시 통상 3개월 이상 소요되는 절차의 내용을 모두 이해할 수준의 인지 능력이 필요하다는 게 현장의 지적이다. 

 

이렇게 주민등록 밖에 존재하는 시민을 줄이려면, 단순히 실종 기간만 기준으로 사망 간주를 하기보다는 그 요건을 더 꼼꼼히 따질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노숙자의 주민등록을 선제적으로 확인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윤 변호사는 "21세기 한국에서 멀쩡히 산 사람이 사망자로 방치된다는 건 당혹스러운 현실"이라면서 "실종선고 취소 절차도 청구인 편의에 맞게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최다원 기자

 

 

 

https://v.daum.net/v/20231218093005555

 

 

 

 

 

 

 

 

 

 

제가...... 죽었다고요?.....

댓글 0
댓글 정렬방식 선택
  • 선택됨
      글자 수0/총 글자 갯수600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테이블에 앉아보세요!
      누구나 가입이나 등업없이 글을 쓰고 읽을 수 있는오픈형 커뮤니티 테이블테이블 소개 이미지테이블 자세히 알아보기